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가시영역에서 연속 가변되는 광섬유 레이저
    독일의 콘스탄츠 대학교 연구진은 녹색에서부터 적색까지 연속적으로 가변되는 레이저 펄스를 제공하는 소형 장치를 시연했다. 이는 근적외선 광섬유 레이저 광원과 단일통과 주파수 2배기를 결합함으로써 가능했다. 연속 가변 광섬유...
    2006-06-12 18:44
  • 기후 변화로 허리케인의 빈도가 결정된다?
    인류에 의한 기후 변화가 북대서양 허리케인의 빈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과 MIT에 의해 보고됐다. 엘리뇨 등의 대순환보다 규모가 낮은 해양 순환인 AMO을 조사한 결과 오염물질에 의한 냉...
    2006-06-12 18:44
  • 지진발생! 책상 아래 숨을까? 밖으로 나갈까?
    “인천 앞바다 80km 위치에서 규모 5.2의 강진이 발생했으며 인천은 진도 5, 서울은 진도 3의 상황입니다. 수도권과 경기지역에서는 서너 번 정도 비슷한 규모의 여진이 발생할 예정입니다.” ...
    2006-06-12 18:43
  • MIT, 시각장애인용 ‘시각기계’ 고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시각을 연구 중인 한 법정(法定) 시각장애인이 제한된 시력을 가진 사람들이 친구의 얼굴을 보고, 방문하려는 건물의 배치를 읽고 배울 수 있는 '시각기계'를 만들었다. 제작에 약 4천달러가 소...
    2006-06-12 14:58
  • 달 노릇하던 소행성 지구를 떠났다
    7년 전부터 지구 주위를 돌며 따라다니던 소행성이 지난 주말 지구를 떠나 먼 우주로 날아갔다고 우주과학 웹사이트 스페이스 닷컴이 11일 미항공우주국(NASA) 관계자를 인용 보도했다. 지난 2003년 처음 발견돼 '2003 YN 107'...
    2006-06-12 09:29
  • “세계 최초 암 백신 개발 한국인 과학자가 주도”
    암 백신으로는 세계 최초로 시판이 허가된 자궁경부암 백신 '가다실(Gardasil)' 개발에 재미 한국인 과학자가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끌고 있다. 미국 켄터키주 루이빌의...
    2006-06-10 13:52
  • 식품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정할까?
    식품 유통기한의 의미는 그 기한까지 먹을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제조일로부터 그날까지 판매를 허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해당 유통조건에서 식품이 변질되는 시간을 실험해서 측정한 뒤 결정하며, 유사식품과 다른 나라의 기준을 참...
    2006-06-09 18:57
  • 쌀밥은 뭉치는데 보리밥은 따로 움직이는 이유는?
    곡물이 잘 뭉치는 성질을 ‘찰기’라고 하는데, 곡물의 찰기는 탄수화물인 ‘아밀로오스’와 아밀로오스의 이성질체인 ‘섬유소’의 양으로 결정된다. 아밀로오스가 많을수록 찰기가 많으며 섬유소가 많을수록 단단하다. 보리는 벼에 비해 ...
    2006-06-09 18:57
  • 붉은 압박으로 토고전을 뚫어라!
    한국 대표팀이 치르는 축구경기는 붉은색 천지다. 대표팀이 입은 유니폼에도 붉은색이 들어가고 우리 팀의 응원단도 붉은색으로 치장한다. 한국팀의 서포터스 이름이 오죽하면 ‘붉은 악마’이...
    2006-06-09 18:56
  • ‘일부일처’ 상징 고니는 바람둥이
    새들의 세계에서 일부일처의 상징으로 오랫동안 여겨져 온 고니들이 실제로는 대다수가 바람둥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호주 과학자들이 8일 주장했다. 호주 언론들에 따르면 멜버른 대학 동물학과 라울 멀더 박사팀은 호주에 ...
    2006-06-09 09:24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