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고구려 벽화에 별자리가 있다?
    옛 고구려의 하늘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기록을 남긴 조상들 덕택에 1천5백년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볼 수 있다. 덕수궁 궁중유물전시관에 자리잡은, 천상열차분야지도(天像列次分野之圖...
    2005-11-16 16:57
  • 미 클리닉 “난자수집 협력 중단”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연구를 둘러싼 윤리 논란이 세계줄기세포허브의 미국내 공동작업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황 교수 주도로 지난달 문을 연 세계줄기세포허브를 위해 난자 수집을 도와주기로 했던 샌프랜시스코 퍼시픽퍼틸리티클...
    2005-11-15 19:33
  • 섀튼, “미 학계및 규제당국과 접촉후 황박사와 결별 결정”
    줄기세포 연구에 20개월간 호흡을 맞춰온 황우석 박사와 결별을 선언한 미국 피츠버그 대학의 제럴드 섀튼 박사는 14일 황 박사의 연구에 사용된 난자가 취득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정보와 관련해 미국의 학계및 규제 당국과 접촉...
    2005-11-15 08:07
  • 과학자는 고리타분 하다고?
    이공주복 이화여대 물리과 교수,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김창규 한국원자력연구소 책임연구원, 이은영 과학기술부 서기관. 이들에게는 ‘과학기술인’이라는 공약수가 있다. 또 다른 공...
    2005-11-14 21:19
  • “대중과 과학의 소통” 과컴포럼 창립
    일반대중과 과학의 원활한 소통을 통한 과학기술의 발전을 추구하는 과학기술커뮤니케이션포럼(과컴포럼)이 창립됐다. 과학커뮤니케이션 연구자, 교육자, 실무 종사자 등 100여명이 참가한 과컴포럼은 10일 서울 서강대 가브리엘관...
    2005-11-14 21:19
  • 부산 아펙 ‘아인슈타인’ 환생
    부산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아펙) 현장에 ‘아인슈타인’이 등장한다. 오준호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는 14일 아펙 정상회의 기간에 열리는 ‘IT 전시회’의 ...
    2005-11-14 21:15
  • 이주일의 열쇳말 - 분해능
    중학교에 다니는 철수는 10배짜리 돋보기 렌즈를 가지고 액정 모니터 화면을 보니 조그만 점들이 보였다. 다름 아닌 화소(픽셀)들이 분리되어 보이는 것이다. 이렇게 렌즈를 사용해 개체를 ...
    2005-11-14 21:13
  • ‘난자채취 의혹’ “진실규명뒤 생명윤리 바로 잡아야”
    황우석 교수 연구진의 난자 채취의 윤리성을 둘러싸고 의혹을 제기했던 민주노동당과 종교계, 시민단체 등은 섀튼 교수의 ‘결별 선언’을 계기로 진실을 밝히고 생명 윤리를 세우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른 정...
    2005-11-14 20:38
  • “외길 자괴감…이름 났으나 난 아직 부족…법 따랐다”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는 최근 눈에 띄게 몰리는 듯한 언행을 많이 보였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연구에 압박감을 느끼거나 뭔가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기도 했다. 독실...
    2005-11-14 19:12
  • 황우석 교수 “윤리 가이드라인 지켰다”
    제럴드 섀튼 미국 피츠버그의대 교수가 배아 줄기세포 연구과정의 윤리문제를 거론하며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와 연구 결별 선언을 했음에도 황 교수 쪽에서 아직 명확한 해명을 내놓지 않...
    2005-11-14 19:0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