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위안부 할머니들이 사라져간다
    등록자 40%가 이미 작고… 나머지도 대부분 80대“일 국왕 환영” 소식에 발동동… “사과도 안하는데” “지난해에는 한두 달에 한 사람씩 세상을 뜨더니, 올해는 해 바뀐지 열흘만에 두 할...
    2005-01-14 18:22
  • ‘포주’들의 대변자가 된 언론
    [분석] 성매매업주 보도자료 그대로 기사화“월 500만원 소득…생계형 성매매니 정책적 배려해야” 언론이 ‘포주’들의 대변인이 되었다. 지난 12일 가 송고해 각 언론과 포털들에 실린 기사...
    2005-01-14 16:54
  • ‘건빵도시락’ 폭로한 석일 목사
    전북 군산시의 `건빵 도시락'을 처음으로 언론에 제보한 석 일(48) 살림교회 목사는 14일 "수차례 부실 도시락의 개선을 요구했으나 묵살당했다"고 밝혔다. 석 목사는 그동안 언론...
    2005-01-14 16:44
  • 얼음으로 뒤덮인 단양 양백폭포
    2005-01-14 10:55
  • 부실도시락에도 “잘 먹었어요” 편지
    “도시락 잘 먹었습니다. 즐거운 성탄절 보내시고 건강하세요!” 제주도에 이어 전북 군산시에서 ‘건빵 도시락’이 파문을 빚은 가운데, 결식아동들이 부실 도시락을 먹고도 매일 감사의 마...
    2005-01-13 23:46
  • “문제제기 부끄러움 없다”
    MBC는 13일 `명품 핸드백 파문'과 관련된 이들을 중징계하고 이긍희 사장 명의의 사과문을 발표했다. 이번 파문의 시발점이 된 글을 개인홈페이지(www.leesangho.com)에 올린 이상호 기...
    2005-01-13 21:41
  • 수구적 표현의 동질성/이주현
    미국의 독특한 정치문화라고 할 수 있는 라디오 토크쇼에서 진보적인 소리는 왜 맥을 못 추는 것일까? 그 이유에 대한 로저 크레이버의 분석은 자못 흥미롭다. 진보적인 성향의 진행자들은 ‘...
    2005-01-13 21:04
  • “권력화한 언론 비판프로 필요”
    윤호진 연구원, 매체비평 프로 비판론에 쐐기 “기자들, 이제 더 엄격하게 자기검열을 해야 할 겁니다.” 윤호진(사진)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은 〈문화방송〉 기자들의 ‘구...
    2005-01-13 21:0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