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첫 얼음, 무태풍
    작년보다 12일 늦어첫눈도 늦어질 전망 얼음·서리 등 겨울을 상징하는 기상 현상의 발생 시점이 점점 늦어지고 있다. 기상청은 9일 강원 설악산 중청봉의 최저기온이 영하 0.6도를 기록...
    2009-10-09 19:01
  • 외계 생명체 생존 비밀의 문, 남극에 있다
    지구에서 가장 많은 동물은 무엇일까. 60억이 넘는 인간은 정답이 아니다. 수로 치면 개미가 사람보다 더 많다. 하지만 지구에서 가장 많은 생물은 바로 박테리아(세균)다. 우리 몸에 붙어사...
    2009-10-09 00:39
  • 국내 첫 ‘조류학사전’ 펴낸 환경공무원
    “조류도감에서는 알 수 없는 새들의 생태와 부위의 기능 등을 정리해 남겨야겠다는 생각에서 사전을 만들게 됐습니다.” 원주지방환경청 자연환경과에서 야생동물 실태조사 업무를 맡고 있...
    2009-10-08 20:28
  • 폐광을 식물원으로…인간과 자연 ‘공존’ 꿈꾸다
    런던에서 기차로 5시간 거리인 영국 콘월주. 인구 50만명의 이곳은 산업혁명 이후 구리와 고령토 광산으로 번창하다 자원이 고갈되면서 영국에서 가장 가난한 주의 하나로 전락한 곳이다. 그...
    2009-10-06 21:46
  • 지리산 아기곰 “저 건강해요”
    올해 초 지리산에서 태어난 새끼 반달가슴곰(사진)이 건강한 모습으로 겨울나기 준비에 한창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새끼 반달가슴곰이 어미 곰과 함...
    2009-09-30 21:06
  • 지구 축소판 ‘인공지구’ 실험 2년도 못 넘겨
    어항에 물고기를 길러 보자. 계곡에서 잡은 버들치 몇 마리를 페트병에 담았다. 어떨까. 당장은 잘 산다. 수돗물을 넣지 않고 계곡물을 넣어주었다면 말이다.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죽고 만...
    2009-09-30 17:38
  • 21년만에 지정될 21번째 국립공원은?
    우리나라는 1967년 지리산을 시작으로 1988년 변산반도국립공원까지 20개의 국립공원을 지정했다. 그러나 그 후 21년 동안 국립공원은 더이상 지정되지 않았다. 요즘같이 환경과 생태가 강조...
    2009-09-22 21:19
  • 아열대 곤충까지 한반도로
    한반도가 지구온난화로 뜨거워지고 있다. 이런 기후변화로 남해에서는 아열대 어종인 참치와 고래상어가 잡히고 제주도에서는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새로 알려진 푸른날개팔색조가 관찰된다. ...
    2009-09-22 21:18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