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의 화두' 툭 던지는 미디어 철학
- 김용석의 고전으로 철학하기
맥루언의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마셜 맥루언의 (1964년)은 그 제목의 뒷부분을 잘 볼 필요가 있다. 저자의 의도를 잘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
- 2006-05-21 16:51
-

- 타일·벽지도 '퍼즐'이 될 수 있다
- 창의력 쑥쑥 퀴즈
아이들이 있는 가정에는 퍼즐이 한두 가지 정도는 있다. 퍼즐 맞추기 놀이는 공간에 대한 감각을 키우고 부분과 전체의 조화에 대한 논리적 이해를 키우는 데 도움이 된...
- 2006-05-21 16:44
-

- 녹색세상 꿈꾸는 12살 한수에게
- 다르게 읽기 깊이 보기
도서실에 자주 오는 5학년 한수 별명은 호기심 박이다. 요즘 호기심 박의 머릿속에는 온통 환경문제뿐이다. 사회시간에 환경보존과 개발에 대해 배우는데, 그 두 ...
- 2006-05-21 16:38
-

- 엄마, 난 어디서 태어났어?
- 책꽂이
도둑
양반과 평민이 조선시대 대표적인 두 계층이었다면, 해방 이후 현재까지 대표적인 두 계층은 전라도 사람과 경상도 사람이다. 어디서 태어났는가가 부, 학벌, 지위 그 어떤 ...
- 2006-05-21 16:33
-

- 곰이 핥아준 마음의 상처
- 1318책세상
스피릿 베어(양철북)
인간이 순환하는 대자연의 한 부분이듯, 인간이 저지른 잘못도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고 되물림 된다. 재판에 의해 죄의 가벼움과 무거움을 판결...
- 2006-05-21 16:31
-

- 5월 22일 새로 나왔어요.
- ● 영·유아
개구리는 ‘개골 개골’ 하고만 울까? 아니다. 참개구리는 ‘꾸르륵 꾸르륵’ 맹꽁이는 ‘맹맹꽁꽁’ 청개구리는 ‘깩, 깩, 깩, 깩’ 산개구리는 ‘호로로롱, 호로로롱’ 운다. 뱀은 다...
- 2006-05-21 16:25
-

- 대학생 ‘여초’ 아직 아니다
- 1970~80년대엔 대학생 네명 중 한명만이 여학생이었다. 30여년이 지난 지금, 대학생 중 여학생 비율이 절반을 육박한다.
19일 한국교육개발원 이광현 부연구위원이 낸 ‘전국 대학 연도별 ...
- 2006-05-19 19:15
-

- “북스타트로 아기때부터 책과 친구되게”
- 학교도서관 겉은 화려해도 ㅈ장서·운영 노하우 부족전문가 동원해 아이 나이 맞게 책 읽기 지원해야
왜 책인가. 디지털 시대를 앞서 이끈다는 정보통신 강국 대한민국에서 왜 책인가. 활자...
- 2006-05-19 19:03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