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곳곳에 예외조항 투성이…‘식품안전’ 소비자가 나선다
    지난 추석 명절 차례상에 롤케이크를 올렸다. 돌아가신 시아버지께서 평소 좋아하던 음식 중 하나였다. 차례상에 올리는 롤케이크이니 가능하면 좋은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사고 싶었다. 꼼...
    2015-10-13 17:08
  • 환경 관련 이슈, CEO가 직접 챙긴다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민간 기업에도 주주가치 못지않게 투명성·진정성·윤리성 등 사회적 가치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한 지 오래다. ‘2015 동아시아 30’에 선정된 국내 기업들 중에서 환경·...
    2015-10-13 17:07
  • ‘신뢰와 협동의 경제’로 새 균형 찾는다
    세계 경제가 혼돈의 늪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다. 만성적인 불안과 불확실성의 시대로 접어든 모습이다. 미국발 세계 금융위기가 터진 뒤 7년째를 맞는데도 세계 각국은 여전히 또다른 위기의 ...
    2015-10-13 17:06
  • ‘환경-사회-거버넌스’ 3자 균형성장 추구 확산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은 2010년부터 한국, 중국, 일본의 사회책임경영(CSR) 우수 기업을 선정해 ‘동아시아 30’을 발표하고 있다. 한·중·일 세 나라의 전문가 9명으로 구성된 아시아 사회책임...
    2015-10-13 16:54
  • ‘개발 먼저’ 방식 버리고 경제·환경·삶의 질 함께 도모
    싱가포르는 글로벌 도시 중 인구밀도가 높은 메가시티 중 하나다. 전체 면적은 718㎢로 546만명이 거주하고 있다.(서울 605㎢, 1010만명) 도시의 인구밀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기 마...
    2015-06-30 17:24
  • 덩치만 커진 도시를 ‘사람 중심’으로…농민공 정착 관건
    농민공(農民工), 다궁메이(打工妹)…. 우리말로 풀면 농촌 출신 도시 노동자, 공장에서 일하는 젊은 여성들을 일컫는 말이다. 이들은 젊은 나이에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도시로 몰려들면서 ...
    2015-06-30 17:18
  • 경제력 중심서 벗어나 삶의 질 고민하자
    오늘날 도시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도시 경쟁력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가’다. 지구화의 영향으로 세상은 하나의 경계 안에서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움직인다. 이러한 단일 영향...
    2015-06-30 17:16
  • “도시 녹색성장, 시민 참여로 가능”
    도시의 지속가능성은 경제·환경·사회 이슈가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환경경제학자인 모르간 슈베 프랑스 르아브르대 교수(사진)는 지난 10일 인하대학교에서 <한겨레>와 만나 “시...
    2015-06-30 17:14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