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3빌딩도 넘을 수 있는 거품벌레?
- ◈ 생물체 중에서 높이뛰기를 가장 잘하는 것은 무엇일까? 벼룩? 아니다. 흔히 알려진 것과 달리 ‘거품벌레’가 벼룩보다 더 높이 뛴다. 벼룩이 33cm를 뛰는 데 비해, 거품벌레는 무려 70cm까지 뛴다고 한다. 거품벌레의 몸길이가 수컷 ...
- 2006-03-24 18:02
-
- 춥다고 술을 마신다고?
- ◈ 추위를 잊기 위해 술을 마시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러시아에서는 겨울철에 보드카가 특히 많이 팔리고 우리나라에서도 겨울엔 독한 술이 많이 팔린다고 한다. 그러나 추울 때 술을 마시는 것은 좋지 않다. 알코올이 몸 속에 들어가...
- 2006-03-24 18:02
-

- 다 흡수해버리겠어! - 물유리(water glass)
- ‘낮부터 내린 비는 이 저녁 유리창에 이슬만 뿌려놓고서…’ 십여 년 전 인기를 끌었던 가수 햇빛촌의 ‘유리창엔 비’라는 노래 도입부다. 그렇다. 비가 아무리 와도 유리창에는 빗방울만 맺힐 ...
- 2006-03-24 17:59
-
- 쏘는 맛 느끼는 수용체 발견
- (서울=연합뉴스) 마늘과 겨자등 강한 향신료의 고통스런 쏘는 맛을 느끼게하는 수용체가 발견됐다고 헬스데이뉴스가 23일 보도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캘리포니아대학 연구팀은 TRPA1이라고 불리는 이 수용체를 발견했다...
- 2006-03-24 11:36
-

- 스위스 최대 축구장은 ‘태양광 발전소’
- 스위스는 전력의 40%는 원자력에서, 나머지는 수력에서 얻는다. ‘이산화탄소 제로’를 위해 화력발전은 하지 않는다. 이런 지속가능 발전 전략은 베른에 있는 태양발전 축구경기장과 로잔연방...
- 2006-03-23 21:33
-

- ‘유럽의 MIT’ 취리히·로잔공대 개혁현장을 가다
- 스위스에는 먹을 것이 부족해 하느님께 빌었더니 하늘에서 소와 양이 한마리씩 내려왔다는 전설이 있다. 이 소와 양을 잘 키워 스위스는 치즈의 나라로 발전했다. 이 전통적 낙농국가는 한때...
- 2006-03-23 21:29
-
- 원자력연구소, 안정 동위원소 생산기술 개발
- 심장질환 진단 방사성 의약품 등 의료용으로 이용되는 안정 동위원소를 레이저를 이용해 생산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소는 최근 레이저를 이용한 안정 동위원소(SI. Stable Isotope) 생산기술...
- 2006-03-23 14:39
-
- 아기들은 배우고 싶은 말부터 배운다
- 아기들은 부모가 무슨 말을 가르치려는 지에는 관심이 없고 자신의 관심을 끄는 대상의 이름부터 배우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과학 웹사이트 라이브 사이언스 닷컴이 22일 보도했다.
미국 템플대학의 캐시 허쉬-파섹 교수 등 연...
- 2006-03-23 11:34
-
- 한국인 첫 우주인 배출사업 내달 본격 ‘시동’
-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 후보를 선발하기 위한 계획과 일정 등이 4월 공고되는 등 우주인 배출사업이 본격 착수된다.
또 국내에 진출한 외국 연구개발(R&D)센터도 병역특례 지정기관 선정때 우대, 연구원 등 인력 지원 혜택...
- 2006-03-23 08:27
-
- MS, 새 운영체계 출시 내년 1월로 연기
- 마이크로소프트사(MS)가 `윈도즈 XP' 후속으로 당초 올해 안에 내놓으려고 했던 새로운 운영체계인 `윈도즈 비스타(Windows Vista)' 출시를 내년 1월 이후로 연기키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MS의 윈도즈 분야 공동사장인 짐 앨친...
- 2006-03-23 02:16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