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일본은 환경, 한국은 사회 우수…세나라 거버넌스 아쉬워
    ‘2014 동아시아 30’의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은 보건 및 안전 부분에서 인사사고로 제외된 기업들이 많았다. 유해화학물질에 오염된 작업장에서 인명사고가 발생한 전기·전자 제조 기...
    2014-09-30 10:21
  • “기업 이해관계자로서 언론 역할 어느때보다 중요”
    벵트 요한손은 외교관이다. 국내뿐 아니라 지구촌 곳곳을 돌아다니며 스웨덴 기업의 사회책임경영(CSR)을 감시하고 독려하는 게 일이다. 스웨덴은 기업들의 해외 비중이 압도적으로 커 세계...
    2014-06-26 16:49
  • 참여와 자율, 일과 삶의 균형…일터마다 개성 만발
    ‘사회적 목적’이 사회적 경제 조직의 존재 이유라면 ‘자율적·민주적 운영’은 이들이 사업과 경영을 하는 방식이다. 사회적 경제를 특징짓는 정체성, 즉 고유의 기업문화라고 할 수 있다. 자...
    2014-06-26 16:48
  • “기업문화란 기업의 무의식…숨겨진 질서죠”
    인터뷰 / 기업문화 컨설턴트 신상원씨 영화 <인셉션>은 타자의 꿈속에 들어가 무의식에 개입하는 과정을 그린다. 주인공이 어린 시절 무의식에 각인돼 있던 아버지의 애정을 확인하는...
    2014-06-26 16:42
  • 조합원 수 100배 성장…의료 넘어 ‘건강마을’ 만든다
    20돌 맞은 의료협동조합 “의사 선생님, 주사 한 대라도 놔주세요.” “할머니, 주사는 필요 없어요. 이 약으로도 충분합니다.” 안성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안성의료협동조합) 병원에서 흔...
    2014-06-26 16:40
  • 조례·인증제·협의회 등으로 독려
    일본에선 지방자치단체들이 관내 기업의 사회책임경영을 독려하고 지원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자체적으로 관련 조례를 제정하거나 사회책임경영추진협의회를 구성하기도 하고, 지역사회 공...
    2014-06-26 16:40
  • 공사보고서·하자보증증권으로 고객 신뢰 쌓아
    한국유지보수협동조합은 안전과 신뢰를 핵심 가치로 삼고 있는 협동조합이다. 이 업체는 이름 그대로, 건물의 공기 및 열 관리 설비, 방수·방열 시스템 등을 유지·보수하는 일을 한다. 유지·...
    2014-06-26 16:39
  • “돌봄서비스, 사회적 경제 조직들 함께 힘 모아야”
    2003년 6월 한국의료생활협동조합연대 출범. 2011년 12월 한국의료생활협동조합연합회로 전환. 지난해 10월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로 전환. 한국 의료협동조합 20년 동안 중요...
    2014-06-26 16:3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