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0
패밀리사이트
로그인
회원가입
한겨레
더보기
사회적경제
문학웹진<한판>
한겨레경제연구소
착한경제
한겨레휴센터
뉴스
함께하는교육
헤리리뷰
사람
많이본 기사
날짜별 한겨레
지난 톱 기사
PDF 서비스
RSS 서비스
스페셜
휴심정
물바람숲
사진마을
사이언스온
베이비트리
투코리아
커뮤니티
토론마당
이야기
블로그
SNS통하니
구 필통 블로그
하니TV
김어준의 파파이스
한겨레캐스트
한겨레포커스
잉여싸롱
지식공감 10분
x 닫기
기타서비스
ENGLISH
JAPANESE
PDF
구독신청
고객센터
검색
검색영역
검색
전체기사
정치
정치전체
정치일반
청와대
국회·정당
행정·자치
국방·북한
외교
사회
사회전체
사회일반
여성
노동
환경
장애인
인권·복지
의료·건강
미디어
궂긴소식
인사
엔지오
교육
종교
전국
경제
경제전체
경제일반
증권
부동산
금융·재테크
광고·마케팅
쇼핑·소비자
직장·창업·취업
자동차
IT
HERI리뷰
기업PR
국제
국제전체
국제일반
해외토픽
아시아·태평양
미국·중남미
유럽
중국
일본
중동·아프리카
국제기구·회의
국제경제
문화
문화전체
문화일반
영화·애니
방송·연예
여행·여가
음악·공연·전시
학술
책
스포츠
스포츠전체
스포츠일반
축구·해외리그
야구·MLB
골프
경기일정
경기결과
바둑
과학
과학전체
과학일반
과학기술
과학향기
기획연재
20대가 그리는 대한민국
평창올림픽 분산 개최 늦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 2년 진단
제주에서 살아볼까, 딱 한달만
MB ‘31조 자원외교’ 대해부
핫이슈
정윤회 국정개입 문건 파문
[세월호] 멈춘 시간, 멈출 수 없는 이야기
교과서 역사왜곡
잊지 않겠습니다
신음하는 4대강
만화
만화전체
한겨레그림판
정훈이
쏘미와 호보
내부자들
히틀러의 성공시대
김영훈의 생각줍기
esc
여러분의 신선한 삶을 위한
한겨레 매거진
토요판
뉴스그래픽
스토리텔링
데이터시각화
인포그래픽
카드뉴스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이틀간 토론…아시아적 평가모델 만장일치 확정
8월21일 인천 베스트웨스턴프리미어호텔에 한국·중국·일본 사회책임경영(CSR)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아시아적 특성을 반영한 공동의 사회책임경영 평가기준을 만들어내기 위한 첫 만...
2010-08-31 20:13
“‘우리 강산 푸르게’ 넘어 가족친화경영으로 사회 기여”
유한킴벌리. 한국에서 가장 사회책임경영을 잘 하는 것으로 꼽히는 기업이다. 또 기업브랜드 선호도 역시 가장 높게 나오는 기업 중 하나다. 한겨레경제연구소가 2009년 한국 성인남녀 1000...
2010-08-31 20:08
비용 크고 생산성 낮아 부담…자립 목표 공유를
Q 저는 지적 장애인 생활시설의 원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최근 ‘지적 장애인들이 평생 생활시설을 떠나지 않고, 편히 보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를 고민하던 차에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2010-08-31 20:03
현 정부 들어 독립성 훼손 잇따라…위아래 모두 변해야
1999년 시작된 정부출연 연구기관(국책연구소)의 ‘연구회 체제’가 흔들리고 있다. 지난 8월3일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등 관계 부처들은 국무총리실 산하 기초기술연구회와 산업기술연구회...
2010-08-31 19:57
빠르고 전문성 있는 쟁점 대응으로 위상 제고
국회 예산정책처와 입법조사처는 또다른 의미의 국책연구소이다. 정당연구소가 여전히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과 달리, 예산정책처와 입법조사처는 빠른 속도로 자기 위상을 확립해 가...
2010-08-31 19:47
엔고로 ‘강한 경제’ 현실화…사회보장이 아킬레스건
일본 경제는 침체되고 있다. 정치의 침체도 예상된다. 그렇다면 이것은 언제부터 시작된 것일까? 그리고 그 전망은? 버블경제 꺼지자 자민당 정권도 붕괴 일본의 거품(버블)경제는 199...
2010-08-31 18:36
중국 기업 ‘사회적 책임’에 눈 돌리다
한국인의 머릿속 ‘중국 상인’은 늘 영리에 밝고 약삭빠른 존재였다. 경제적 이익에 누구보다 민감하고, 명분보다 실리를 챙기는 사람들로 여겨졌다. 최근 수십년 동안 시장경제가 발달하면서...
2010-06-28 23:42
정부·시장 압력에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급증
최근 2~3년 동안 중국 사회책임경영에서 가장 큰 변화는 정부 주도에서 기업의 자발적 참여로의 전환이다. 이런 변화가 생겨난 이면에는 기업 관리자들의 의식 변화가 있다. 경제잡지 <포...
2010-06-28 23:36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으로
맨뒤로
사드 논란과
‘선무당’
3월 31일
한겨레 그림판
[카드뉴스] ‘떡볶이’
여기가 최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