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중·일 ‘환경’, 한국 ‘사회’ 영역 중시…윤리경영 공통과제로
한국·중국·일본 세 나라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각각 어떻게 인식되고 있을까?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날까? 8월21~22일 이틀간 한겨레경제연구소(HERI) 주관으로 열린 ‘아...
2010-08-31 20:15
이틀간 토론…아시아적 평가모델 만장일치 확정
8월21일 인천 베스트웨스턴프리미어호텔에 한국·중국·일본 사회책임경영(CSR)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아시아적 특성을 반영한 공동의 사회책임경영 평가기준을 만들어내기 위한 첫 만...
2010-08-31 20:13
“‘우리 강산 푸르게’ 넘어 가족친화경영으로 사회 기여”
유한킴벌리. 한국에서 가장 사회책임경영을 잘 하는 것으로 꼽히는 기업이다. 또 기업브랜드 선호도 역시 가장 높게 나오는 기업 중 하나다. 한겨레경제연구소가 2009년 한국 성인남녀 1000...
2010-08-31 20:08
비용 크고 생산성 낮아 부담…자립 목표 공유를
Q 저는 지적 장애인 생활시설의 원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최근 ‘지적 장애인들이 평생 생활시설을 떠나지 않고, 편히 보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를 고민하던 차에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2010-08-31 20:03
사회적기업가학교 제2회 수료식
지난 7월3일 서울 성공회대 피츠버그홀에서는 보기 힘든 장면이 연출됐다. 평소 칠판과 분필로만 강의하길 고집하던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가 파워포인트로 제작된 슬라이드를 활용해 강의를 진행한 것이다. 신 교수는 본인이 교장...
2010-08-31 20:01
현 정부 들어 독립성 훼손 잇따라…위아래 모두 변해야
1999년 시작된 정부출연 연구기관(국책연구소)의 ‘연구회 체제’가 흔들리고 있다. 지난 8월3일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등 관계 부처들은 국무총리실 산하 기초기술연구회와 산업기술연구회...
2010-08-31 19:57
빠르고 전문성 있는 쟁점 대응으로 위상 제고
국회 예산정책처와 입법조사처는 또다른 의미의 국책연구소이다. 정당연구소가 여전히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과 달리, 예산정책처와 입법조사처는 빠른 속도로 자기 위상을 확립해 가...
2010-08-31 19:47
엔고로 ‘강한 경제’ 현실화…사회보장이 아킬레스건
일본 경제는 침체되고 있다. 정치의 침체도 예상된다. 그렇다면 이것은 언제부터 시작된 것일까? 그리고 그 전망은? 버블경제 꺼지자 자민당 정권도 붕괴 일본의 거품(버블)경제는 199...
2010-08-31 18:36
중국 기업 ‘사회적 책임’에 눈 돌리다
한국인의 머릿속 ‘중국 상인’은 늘 영리에 밝고 약삭빠른 존재였다. 경제적 이익에 누구보다 민감하고, 명분보다 실리를 챙기는 사람들로 여겨졌다. 최근 수십년 동안 시장경제가 발달하면서...
2010-06-28 23:42
정부·시장 압력에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급증
최근 2~3년 동안 중국 사회책임경영에서 가장 큰 변화는 정부 주도에서 기업의 자발적 참여로의 전환이다. 이런 변화가 생겨난 이면에는 기업 관리자들의 의식 변화가 있다. 경제잡지 <포...
2010-06-28 23:36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