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교수 복제개 ‘스너피’ 올 최고 발명품
- 미 시사주간지 타임은 올해 가장 놀라운 발명품으로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팀의 복제개 '스너피(Snuppy)'를 선정했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타임은 이날 발매한 최신호에서 황 석좌교수팀이 지난 8월 복제에 성공했다고 ...
- 2005-11-13 22:23
-

- 미 섀튼박사, 황우석교수와 결별선언-왜?
- 미국 줄기세포 연구의 권위자로 황우석 서울대 교수와 공동연구를 추진해 왔던 제럴드 섀튼 교수(피츠버그대)가 윤리적 문제로 황 교수와 결별하기로 했다고 12일(현지시각) 와 등이 보도했...
- 2005-11-13 19:43
-
- “맥주도 항암효과 있다”
- 초콜릿과 적포도주에 이어 맥주도 항암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의 선데이 텔레그래프가 13일 보도했다.
이 신문 보도에 따르면 미국 과학자 프레드 스티븐스 박사는 맥주 원료 가운데 하나인 홉에 들어 있는 미...
- 2005-11-13 11:50
-
- 장미는 안 되고, 봉숭아만 된다?
- ◈ 지금은 흔치 않지만 한때는 첫사랑의 성공을 기대하며 손톱에 봉숭아물을 들이고 오매불망 첫눈을 기다리던 사람들이 있었다. 꽃잎과 잎사귀 등을 백반과 잘 섞어 빻은 후 실로 동여맨 상태로 몇 시간을 기다리는 노력과 정성을 아...
- 2005-11-11 16:03
-
- 가습기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
- ◈ 옷깃을 여미는 예사롭지 않은 손길에서 계절의 변화가 느껴지는 요즘이다. 이맘때면 이것저것 월동준비가 한창인데 그 중 하나가 가습기다. 습도가 낮은 겨울에 건조한 실내 공기를 위해 가습기가 필요하지만 무엇이든 제대로 써야 ...
- 2005-11-11 16:03
-

- 머리 감고 싶은 대머리 김 과장
- “가을에 낙엽이 떨어지듯, 내 머리카락도 추풍낙엽과 별반 다를 게 없구나.” 노총각 김 과장은 요즘 고민에 빠졌다. 나이가 들면서 눈에 띄게 빠지는 머리카락 때문이다. 우스개소리로 “돈 ...
- 2005-11-11 15:59
-
- 도심 통행방식, 개미에게서 배운다
- 복잡한 도심을 걸어본 사람들은 누구나 마주 오는 사람과 어깨를 부딪치거나 마주 서서 우왕좌왕했던 경험을 갖고 있기 마련이다.
사람들의 통행 방식에 뭔가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바로 그 같은 ...
- 2005-11-10 10:27
-
- 학은 왜 한쪽 다리로 서서 자나?
- ◈ ‘학’이라는 별칭에 어울리게 우아한 자태를 뽑내기로 유명한 두루미. 특히 한 쪽 다리를 들고 머리를 깃털사이에 파묻고 자는 모습은 여러가지로 신비함을 느끼게 한다. 하지만 그 고고한 자태도 결국은 치열한 생존 전략의 하나일 ...
- 2005-11-09 16:55
-
- 젊은 아빠, 엄마가 좋은 이유
- ◈ 노산은 산모 뿐 아니라 아기 건강에도 절대 긍정적이지 않다. 그렇다면 나이 많은 아빠는?
캘리포니아주립대학 로스앤젤레스 분교의 병리학자인 존 올센(Jorn Olsen)은 최근 나이가 많은 아버지에게서 태어난 아기의 유전적 손상...
- 2005-11-09 16:54
-

- 한반도의 멸종동물들 - 악어와 맥
- 1980년대 초, 필자가 중학생 시절 극장에서 본 영화들 중에 ‘엘리게이터’라는 괴물 악어 영화가 있었다. 애완용 새끼 악어가 하수도에 버려졌다가 어마어마한 크기로 자라서 도시를 휘젓고 ...
- 2005-11-09 16:53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