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모짜르트도 모르는 음악효과? - 음악치료
1990년대 초반 모짜르트의 음악을 듣기만 해도 머리가 좋아진다는 일명 ‘모짜르트 효과’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과학적인 입증에 실패해 반짝 인기에 그쳤지만 음악만 틀어 놓으면 기억...
2005-09-05 16:33
구름 속 얼음이 번개 만든다
◈ 미국 앨라배마대의 윌터 피터슨 박사팀이 번개 발생이 구름 속 얼음 입자와 관련이 있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NASA의 인공위성 'TRMM'으로 전 세계 소나기 구름을 관측한 결과, 번개가 치는 구름 속에 항상 얼음...
2005-09-05 16:33
비행기의 소음이 사라진다?
◈ 영국 캠브리지대 연구진이 이륙 후 더 이상 소리가 나지 않는 '조용한 비행기'를 디자인 중이라 한다. 우리에게 익숙한 비행기의 모습은 튜브 형태의 몸통에 날개를 붙인 형태이나, 이 무소음 비행기는 전체적으로 몸통이 납작하고 ...
2005-09-05 16:32
영국 의학자 “배아줄기세포 연구효과 과장돼”
과학자들이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가져올 의학적 성과를 과장하고있다고 영국의 의학 전문가가 주장한 것으로 더 타임스등 영국 언론들이 5일 보도했다. 영국과학진흥회장인 윈스턴경은 과학자들의 과장된 주장으로 사람들이 배아...
2005-09-05 15:40
과학 연구결과 뻥튀기 많다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 결과물이 발표 과정에서 부풀려지거나 언론들의 이해 부족 등으로 의미가 과장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이런 경우, 연구 결과물의 의미가 퇴색되면서 거꾸로 연구자가 학계에서 손가락질을 받을 수도 있다....
2005-09-02 19:22
침팬지 유전자도 모두 풀었다
포유동물로서는 네번째로 침팬지의 유전자 지도가 완전히 해독됐다. 연구진은 1일 발행된 과학전문지 에 실은 논문에서 침팬지 유전자를 인간 유전자와 비교한 결과 30억개의 디엔에이 염...
2005-09-01 19:41
임영준 박사 산화콜레스테롤 결합단백질 세계 첫 규명
인체의 세포내 콜레스테롤 수송이나 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산화콜레스테롤 결합단백질(OSBP)의 작용 과정이 국내 과학자에 의해 세계 최초로 규명됐다. 광주과학기술원 칼슘대사 시스템생...
2005-09-01 07:13
청계천은 살아 있다 - 청계천의 과학
1394년, 474년간 지속돼 온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세운 이성계는 수도를 한양으로 천도 하였다. 한양의 중심에 위치하여 도성 안을 지리적으로 구분했을 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적...
2005-08-31 22:37
손가락이 5개인 이유는?
◈ 영국의 이론생물학자인 크리스 하야스가 손가락이 5개인 이유에 대해 과학전문지 뉴스이언티스트에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하야스는 "만일 동물의 손가락이 다섯개 이상이면 제대로 걷거나 뛸 수 없을 정도로 손뼈가 뒤틀리게 ...
2005-08-31 22:36
강물과 하수에서도 마약성분 검출가능
◈ 이탈리아 연구진이 시민들의 마약 복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강물과 하수에서 마약성분을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네이처'지에 따르면, 밀라노에 있는 마리오 네그리 약학연구소 주카토 박사 연구팀이 강물과 4개 도시의 하...
2005-08-31 22:35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