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남‘학술원’ 북 ‘과학원’ 은 한뿌리였다
    대한민국 학술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남북을 대표하는 이들 국가 학술기관이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면? 전면 통합이 당분간 어렵다면, 산하 분과소위원회 차원의 부분 통합만이...
    2005-08-15 18:15
  • 한반도-독일 ‘분단’ 닮은꼴과 다른꼴
    강만길 고려대 명예교수와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가 학계는 물론 전 사회적으로 그 명망을 인정받는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냉전이 모든 논리를 압도하던 시기, ‘분단시대의 역사’ 또는 ...
    2005-08-12 17:57
  • 현대 학문의 경계 넘나든 지식의 대통합, 통섭의 달인
    과학속 사상, 사상속 과학/ ⑬ 에드워드 윌슨과 사회생물학 “인종차별주의자, 당신은 글렀어.” 1978년 미국과학진흥협회 연례 회의장에서는 연단을 점거한 국제 인종차별 반대위원회 회원...
    2005-08-11 20:34
  • 수학은 문제풀이 넘어 자연을 이해하는 언어
    최근에 대학진학을 앞둔 딸이 과학자가 되고 싶은데 수학을 못해서 포기해야 할 것 같다며 수학을 원망하는 분을 만났다. 이는 초등학교 때부터 수학과 과학을 연계하지 않고 따로 교육한...
    2005-08-11 20:32
  • 대화의 문 닫은 ‘편지’를 받다
    심야통신/ 기억의 싸움(1) 일본의 대학은 7월 중순부터 여름방학에 들어가기 때문에 학생들이 사라진 캠퍼스는 한산하다. 그래도 우리 교원들의 일은 여전히 남아 있다. 어느 더운 날 ...
    2005-08-11 20:26
  • “너희들이나 잘 하세요”
    세설 아침 에서 도정일 경희대 교수의 ‘경제제일, 가치전도, 우린 물구나무 서 있다’란 글을 읽었다. 글을 읽으면서 계속, 지난 몇주 사이에 언론을 뜨겁게 달군 사건들을 생각했다...
    2005-08-11 20:21
  • 8월 12일 새로나온 책
    인문·사회 버마전선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역사의 증언’ 두 번째 이야기. 3년 간의 인터뷰와 자료조사, 버마 현장 방문, 그리고 14개월의 현지 장기체류 등을 통해 복원한 일본군 위...
    2005-08-11 20:18
  • 아프리카 사람은 매우 철학적이다
     “아프리카의 종교적인 믿음들은 삶의 의미나 만물의 기원, 생의 목적과 끝, 죽음과 그 극복 같은 심오한 질문들에 대해 숙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철학적이다. 인간의 삶에 있어 ...
    2005-08-11 20: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