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6월 3일 박재동의 스케치
    내가 자라난 곳은 부산이다. 오랜 서울 생활에 부산 바다의 그 시원한 맛을 잊고 살고 있다…는 것을 다시 부산에 가면 알게 되는데 그것 조차도 이렇게 조문같은 일이 없으면 ...
    2005-06-02 14:16
  • 청주 삶터교회 김태종 목사 한학 강의
    도덕경 읽어주는 목사 “채소같은 맛” “도덕경은 조용하고 독이 없는 책입니다. 읽을수록, 느낄수록 채소 같은 맛이 나지요.” 충북여성민우회에서 노자의 〈도덕경〉 강의를 시작한 청...
    2005-05-29 18:11
  • 해야 하는 일이 아니라 하고 싶은 일을 하기로 했다
    홍은택의 아메리카 자전거 여행 2 의 저자. 1990년대 후반에 워싱턴 특파원을 지냈다. 독립한 뒤 지금은 미국에서 공부하면서 저술활동도 하고 있다. 첫눈이 내린 지난해 추수감...
    2005-05-26 21:19
  • 또랑또랑 네 눈빛은 반생태적 삶에 일침 놓네
    달려라 냇물아 풀잎 위의 청개구리 눈알 / 최성각(소설가/풀꽃평화연구소장) 얼마 전에 돌을 만지는 한 사내를 만났다. 어떤 이들은 그를 스님이라고 말했다. 낡은 법복을 입고 있...
    2005-05-26 21:14
  • 전깃불 드는 집에 사는 슬픔
    춘천에서 전주로 이사를 왔다. 사람들은 묻는다. 전주로 이사가니까 좋지요? 정말 좋은가? 스스로에게 되묻는다. 답은 잘 모르겠다,다. 아직은 잘 모르겠다. 집 안에만 있으면 여기가 춘천인...
    2005-05-26 21:07
  • 뜨거운 와인 한잔…그리고, 그 ‘정체’를 보았다
    전혜린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내가 전혜린의 에세이 를 처음 읽은 것은 벌써 20년도 전의 일이다. 책의 첫 페이지를 열고 마지막 장을 덮을 때까지 나는 전혜린이라는 한 지...
    2005-05-26 21:01
  • 말과 글이 되는 순간 진실은 휘발된다
    상당수의 유럽쪽 언어에서 ‘역사(history)’와 ‘이야기(story)’는 동일한 어원을 지니고 있다. ‘역사’가 있었던 일, 그러니까 사실에 관계되는 반면, ‘이야기’는 있지 않았던 일, 그러니까 허...
    2005-05-26 20:54
  • 평화를 위해 싸우는 문학
    ‘문학 올림픽’이라는 별칭을 얻으며 뜨거운 관심 속에 진행됐던 제2회 서울국제문학포럼이 성료됐다. ‘평화를 위한 글쓰기’를 주제로 열린 이번 대회는 국내외 참가 작가들이 27일 한반도 분...
    2005-05-26 20:52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