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늑대의 끓는 피 부르는 까닭은…
    중국인들은 스스로 ‘용의 후예’라 즐겨 말해왔다. 그러나 중국인이 ‘용의 후예’가 아니라 ‘늑대의 후예’라는 주장을 담은 매우 독특한 소설 한 편이 대륙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본디 작가가...
    2005-05-19 19:57
  • ‘지금 여기’가 명당이다
    “국토의 95%는 읍 이상의 도시지역에 속한다. 이제 돌아갈 시골의 이상향은 없다. 따라서 시골에서 명당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시에서 명당을 찾아야 한다. 아니, 찾는 게 아니...
    2005-05-19 19:33
  • 로봇의 인간화 인간의 로봇화
    로봇 만들기 책의 마지막 문장은 이렇다. “우리와 로봇의 구별은 사라지고 말 것이다.” 세계 로봇공학의 권위자로 꼽히는 로드니 브룩스 박사(미국 매사추세츠공대 인공지능연구소...
    2005-05-19 19:27
  • 뭇매로 단련된 왕따 ‘가문의 영광’ 일구다
    지구촌을 마을 하나로 축소할 수 있다면, 유대인은 한 마을에 사는 우리 이웃이면서도 오랜 세월 동안 힘 깨나 쓰는 가문들한테 ‘왕따’ 당한 세월을 살아야 했던 집안이다. 왕따 정도가 아니...
    2005-05-19 19:27
  • “고전소설이 지루하다고요? 패러디에 동성애도 다뤄요”
    “사실 나 , 을 읽어본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임치균(45) 한국학중앙연구원(옛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는 세 가지 한문 고전소설을 녹여넣어 이란 소설책을 냈다. ‘소설 ...
    2005-05-19 17:47
  • 인류문명이 살아남기 위한 조건
    (원제: 야만과 문명)는 ‘문명’과 ‘야만’이 극명하게 교차하는 세계의 오지와 도시 등을 답사하며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문명의 본질과 장래를 사색하는 인류학자의 보고서다. 미국 매컬래...
    2005-05-19 17:40
  • 일본식 ‘이도차완’은 조선시대 ‘막사발’이 아니었다
    “1592년 임진년에 시작된 일본의 조선 침략전쟁은 도자기 전쟁이며, 특히 차사발 전쟁이었다.” 조선에 교두보를 확보한 왜군이 가장 먼저 일본으로 보낸 전리품은 김해 향교의 도자기 제기들...
    2005-05-19 17:33
  • 뽀얗게 쌓인 세월의 먼지 속 ‘권력장’ ‘한자고음사전’ 눈맞춤
    헌책방 순례/영광서점 저녁 퇴근길에 간혹 들르던 장소를 휴일 낮에 찾아가면 헷갈린다. 밤에 지리를 알리는 발광체들이 낮에는 지형지물 구실을 잃기 때문이다. 또 퇴근길에서 보는 그...
    2005-05-19 17:2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