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기업 철학·비전과 결합…지속가능경영 확산에 한몫
기업 사회공헌 프로그램이 진화하고 있다. 특히 도움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비추는 따뜻한 활동이 늘고 있다. 지난 10월25일 한국사회복지협의회와 한겨레신문사 주최로 열린 ‘...
2010-11-02 09:21
“청년 혁신가 육성엔 대학보다 시민사회가 적합”
설립 20년 만에 <비즈니스위크>가 선정한 세계적인 디자인스쿨 60위 안에 든 곳. 애플을 상대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레고의 최고경영자가 극찬한 대학. 덴마크 제2의 ...
2010-11-02 09:17
심사 기준 중심으로 강점 설명해야
Q 저는 지역형 사회적기업으로 등록된 작은 예비 사회적기업의 대표입니다. 최근 실적이 제법 안정을 보이고 있어 사업의 확대와 성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마침 지방자치단체에서 예비 사회적기업이 신규사업을 할 수 있도록 사업개발...
2010-11-02 09:11
‘국가적 의제’까지 쥐락펴락…정책논쟁엔 소극적
삼성경제연구소는 그 위상에 걸맞게 자주 화제의 중심이 된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미래복지사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산업 선진화 방안’에 관한 연구용역을 5억원에 삼성경제연구소에 수의...
2010-11-02 09:03
자금·인력 고갈 상태…확고한 중심 세워야
“프로젝트 사무국 역할 이상 못해” 민주노총 정책연구원은 현재 개점휴업 상태이다. 올해 2월 이후 원장은 공석이며, 누리집조차 운영되지 않고 있다. 두명의 상근연구원은 정책실과 협...
2010-11-02 08:59
정부 개입 유효성 확인…복지국가 재구축 나서야
미국 금융위기의 여파로 지난 몇 년간 세계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독일 역시 1945년 이후 가장 혹독한 경기침체를 경험했다. 2008~2009년도 국내총생산은 6.2% 감소했다. 금융위기 이전...
2010-11-02 08:51
독일, 풍부한 지원에 충분한 자율까지
연구기관 시스템은 한국과 비슷 흔히 싱크탱크의 나라로 미국을 떠올리고, 브루킹스연구소와 헤리티지재단을 모델로 삼지만 실상 한국 싱크탱크 생태계는 독일과 유사하다. 국책연구소들을...
2010-11-02 08:45
경제·복지·재정정책 3각 균형 잡아라
“존재가 의식을 결정한다.” 그러나 때로 사람은 개인의 ‘의지’와 ‘역량’으로, 그를 누르는 온갖 제약과 구속을 넘어서기도 한다. 지도자는 더욱 그렇다. 자신만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를 바꿀...
2010-08-31 21:37
‘경제살리기 최우선, 복지·재정 뒷전’…인식 불균형 뚜렷
여전히 ‘경제’가 중심이었다. 민선 5기 기초자치단체장(기초단체장)들은 ‘지역경제의 침체’를 가장 심각한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25.6%가 응답한 ‘인구 감소’가 경제 침체와 직결된다...
2010-08-31 21:30
국민 54%가 거주하는 ‘국가의 모세혈관’
지역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를 맞아 현 정부에서는 그에 걸맞은 새로운 지역발전정책으로 3차원 지역발전정책을 제시했다. 그 세 가지 중심축은 기초생활권, 광역경제권, 초광역개발권 전략이다. 기초생활권이란 이...
2010-08-31 21:28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