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왜냐면] “중증질환 부자가 더 걸린다”, 진실인가? / 김명희
    최근 한 유력신문은 “중증질환, 부자가 더 걸린다” “가난이 병은 옛말, 부자 동네 4대 중증환자 더 많다”는 제목의 기사들을 게재했다. 기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다...
    2013-03-13 19:25
  • [왜냐면] 청소년 자살에 관한 기사를 읽고 / 전은희
    최근 들어 중고생들이 학업성적에 관한 압박과 학교폭력으로 자살했다는 기사가 자주 등장한다. 중고생 자녀 두 명을 둔 학부모로서 기사를 볼 때마다 눈시울이 붉어진다. 큰아이가 고등학교 입학하자마자 자퇴를 하겠노라며 한 학...
    2013-03-13 19:25
  • [왜냐면] 같이 살자, 대한국민 /김성진
    대한민국의 소비자님께. 출퇴근길에 익숙했던 식당이나 상가 점포가 문을 닫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다른 장사가 시작되는 모습을 많이 보셨을 것입니다. 망해버린 주인은 어떻게 살까를 생각하며 걱정스런 생각에 마음이 불편했던 기억...
    2013-03-11 19:26
  • [왜냐면] 차베스 대통령은 전두환이 아니다 / 임승수
    <한겨레> 3월7일치 9면에 실린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의 서거 기사에 대해 꼭 짚고 넘어가고 싶은 점이 있다. 지면에 실린 기사의 부제목은 ‘시위대에 발포 명령 20명 죽기도’이다. 또한 마지막 문단은 ‘차베스는 2002...
    2013-03-11 19:25
  • [왜냐면] 아이를 위협하는 ‘위험한’ 어른들에게 / 이선영
    “그런 일로 전화 안 하셔도 됩니다.” 몸살 증세가 심해진 아들을 학교에 못 보내게 됐다고 조심스럽게 전화를 한 8살 태준이 엄마에게 돌아온 담임 선생님의 답변이다. 아침부터 선생님 마음 쓰이게 할까 걱정했던 태준이 엄마는 말문...
    2013-03-11 19:25
  • [왜냐면] 대통령은 위기 관리의 지도력을 발휘해야 한다 / 김한정
    “양보는 힘 있는 쪽에서 하는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한나라당 대표로 야당을 이끌 때 한 말이다. 옳은 얘기다. 내정은 물론이고 외교와 남북관계에도 적용될 말이다. 북은 지난달 3차 핵실험을 한 데 이어 정전협정 효력 백지...
    2013-03-11 19:24
  • [왜냐면]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 / 이덕배
    중학교 2학년 시절의 일이다. 학교 건물은 산 중턱, 운동장은 산 아래에 있었는데 계단 모양 운동장에 비가 오면 물이 고여 체육수업을 받을 수가 없었다. 당시 교장 선생님께선 교육청에 운...
    2013-03-06 19:29
  • [왜냐면] 안철수에겐 통큰 정치가 필요하다 / 서한옥
    안철수 전 대통령 후보자가 4월 재보선에 출마하기로 했다고 한다. 우선 그의 출마를 환영하고 지지한다. 광범한 국민적 지지를 받아온 유력한 대선 후보자임에도 후보직을 양보했던 그의 희...
    2013-03-06 19:28
  • [왜냐면] “군 자살은 개인 문제”라는 김병관씨의 말을 듣고/ 허영춘
    최근 언론 보도를 보면,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는 2005년 8월 월간지 <신동아>와의 인터뷰에서 “군 자살은 개인 문제”라는 의견을 밝혔다. 나는 1984년 4월2일 최전방 철책 중대에서 중대장 전령을 하던 일병 허원근의 아버...
    2013-03-06 19:27
  • [왜냐면] 신재생에너지로 가는 징검다리, 원자력 / 김태규
    2009년 1000만 관객 동원으로 큰 인기를 끈 영화 <해운대>는 한반도 남동부에서 발생한 큰 지진해일이 해운대를 덮친다는 상상을 소재로 삼았다. 전문가들은 실제 이러한 상황이 우리나라에서 발생할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고 했...
    2013-03-06 19:2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