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왜냐면] 한의사가 있는데 ‘침구사’를 허용하라니 / 이병재
    이미 옛 시대의 유물인 ‘침구사’ 제도를 부활하라는 주장이 <한겨레>에 실렸다. 현행 의료법에서 침구사(정확히는 침사와 구사)는 ‘의료 유사업자’로 규정돼 있어 의료인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
    2007-01-04 17:17
  • [왜냐면] 새만금도 모자라 장항개펄까지 / 김혜정
    노무현 정부 들어 최악의 환경정책 시나리오가 현실로 굳어지는 추세다. 그 정점에 제2의 새만금이라 할 수 있는 충남 서천군 장항개펄 매립사업이 있다. 장항개펄의 보존대책,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대안 ...
    2007-01-04 17:14
  • [왜냐면] ‘침구사’를 다시 허용하라 / 신정식
    침구사란 침사와 구사(뜸사)를 아우른 말이다. 의료법 제60조 제1항에는 ‘의료유사업자’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침뜸은 탕약, 안마, 기공과 더불어 동양의술의 4대 치료방법이다. 침구사를 의료유사업자로 규정한 현 의료법은 침구...
    2007-01-01 17:23
  • [왜냐면] 지금 당장 저소득층 난방을 / 김헌주
    지난 12월27일 에 실린 ‘에너지 복지로 추운 삶에 온기를’이란 기사를 유심히 읽었다. 에너지재단이 출범하여 저소득층 난방시설 지원을 하고, 정부는 10년 안에 ‘에너지 빈곤층’을 해소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는 기사였다. 일단 반...
    2007-01-01 17:21
  • [왜냐면] ‘조선족’에 드리운 한국 언론의 그늘 / 채동운
    ‘조선족!’, 이 말은 이제 내 삶의 주무대인 중국 땅을 넘어서 고국인 한국에서까지도 익숙한 낱말로 자리잡았다. 재중동포와 한국의 인적교류가 깊어진 자연스럽고 다행스런 결과다. 한편으로 ‘조선’ 및 ‘족’이라는 어감에 대한 거부...
    2006-12-28 17:34
  • [왜냐면] 선교 위해 교육개혁 발목 잡나 / 류상태
    목사들이 집단 삭발을 했다. 개정 사학법이 잘못되었으니 바로잡기 위해서란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교단 목사들은 ‘개방형 이사제’가 내년부터 시행되면 사학은 자율성과 건학 이념을 모두 빼앗기게 되어 문을 닫아야 할 판이라고...
    2006-12-28 17:32
  • [왜냐면] 후세인, 누구를 위한 사형 집행인가? / 김성진
    이라크의 전 통치자인 사담 후세인이 사형선고에 불복해 이라크 특별법정에 항소심을 제기했지만 기각됐다. 이라크 현행법상 항소심에서 사형이 확정되면 대통령과 두 명의 부통령 인준을 거쳐 30일 안에 형이 집행된다. 현 이라크 대...
    2006-12-28 17:29
  • [왜냐면] ‘2006 왜냐면’으로 들여다본 한국사회
    국내 대다수 언론이 12월 말이면 나라 안팎의 주요 사건이나 화제를 간추린 ‘올해의 10대 뉴스’ 같은 형식으로 한 해를 돌아봅니다. ‘왜냐면’도 올 한 해 실린 300여 개의 글을 주제어(열쇳...
    2006-12-28 17:27
  • [왜냐면] 교육개혁 발목잡는 교원 근평제도 / 지재호
    지금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서는 인사철을 앞두고 근무평정(이하 근평) 점수 때문에 무척이나 민감하다. 특히 교장·교감 승진 후보자라도 되면 승진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근평을 얻기 위하여 치열한 신경전과 로비를 벌인다. 근평을...
    2006-12-25 17:49
  • [왜냐면] 대안학교에 대한 두가지 오해 / 김재형
    지난 12일치에 실린 ‘사교육 없애는 게 능사인가’라는 제목의 홍석주씨의 글 중 대안학교에 대한 일부 시각은 이제 풀려야 할 오해라고 생각한다. 홍씨는 ‘대안학교는 탄탄한 경제력과 현 교육체제를 넘어서는 교육 철학을 가진 소...
    2006-12-25 17:44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