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흉터는 언제 생기나?
    사람의 피부는 여러 겹으로 돼있는데 바깥쪽으로부터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흉터는 진피로부터 피하조직까지 손상된 결손 즉, 창상이나 피부병이 나은 후 새살이 상처 부위를 덮으면서 생긴 면을 말합니다. 표피...
    2006-07-28 18:56
  • CD와 DVD의 저장용량 차이는 왜 나는지?
    디스크 표면에 홈을 파는 방식인 CD와 DVD는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정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저장용량에 차이가 있습니다. CD는 경로의 폭이 1.6μm인데 비해 DVD는 0.6μm로 더 촘촘하며 경로에 표시되는 홈의 폭도 CD는 0.83μm지만...
    2006-07-28 18:56
  • 색시(色示)한 과일이 몸에도 좋다
    현민이는 들뜬 마음을 감추기 힘들다. 신수정 담임 선생님과 과학반 친구 동현, 수진, 정훈, 병규, 가영 등 과학반 친구 5명이 선생님 댁에서 현장 학습을 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특히 현민...
    2006-07-28 18:55
  • ‘아리랑 2호’ 노르웨이 지상국과 두번째 교신
    28일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2호(아리랑 2호)가 이날 오후 5시44분께 노르웨이 스발바드 지상국과 두번째 교신에 성공했다. 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아리랑 2호는 이날 오후 5시26분부터 10여분간 아프리카 케냐의 말린디 지상국과...
    2006-07-28 18:38
  • ‘아리랑 2호’는 어떤 위성인가
    '다목적 실용위성 2호'(일명 아리랑 2호)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해상도를 자랑하는 1m급 카메라를 장착한 정밀 지구관측 인공위성이다. 1m급 카메라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연구원 14명을 이스라엘 엘롭(ELOP)사에 파견, 공...
    2006-07-28 16:17
  • 9번째 인공위성 ‘아리랑 2호’ 발사
    우리나라 9번째 인공위성인 다목적실용위성 2호(아리랑 2호)가 발사에 성공했다. 아리랑 2호는 28일 오후 4시5분(한국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북동쪽으로 800㎞ 떨어진 플레세츠크 ...
    2006-07-28 16:13
  • “3차원 영상 전송하는 경비 로봇 나온다”
    3차원(3D) 영상 카메라를 탑재, 입체 화면을 보며 원격 조종할 수 있는 로봇이 내년께 국내에 첫 선을 보인다. 현장의 상황을 원근감까지 살려 전해 줄 수 있어 군사지역 경비나 재난지역 탐사 등 용도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
    2006-07-28 10:24
  • 안소현씨 미 젊은 유망과학자상
    재미 한인 과학자로 미 국립보건원(NIH)에서 일하는 안소현(36·여) 박사가 26일 백악관에서 젊은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젊은 유망 과학자 대통령상’을 받았다. 그는 1992년 서울대 화학과...
    2006-07-27 21:40
  • 세포 증식을 조절하는 단백질
    암세포를 포함해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국내 연구진이 발견했다. 신호전달 단백질 중 하나인 MAPK는 세포의 성장 분화 사멸 등 거의 모든 생리현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VRK3라는 단백질이 MAPK에 인산...
    2006-07-27 18:51
  • 식물이 추위를 견디게 하는 단백질
    일본 농업 연구 센터 연구원들이 밀이 추위에 견디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밀이 추위에 노출되면 단백질을 만들 수 없게 되는데, 이를 원래로 되돌리는 단백질이 WCSP1이다. 실험에서 WCSP1을 만들도록 유전자 조...
    2006-07-27 18:51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