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고속철 공사때문에 못살겠어”
    식수 끊기고 ‥ 집기둥 뒤틀리고 ‥ 소 ·돼지 죽어나가 ‥ [현장] 경주 오봉산자락 선동마을 16일 경북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선동마을에서 오봉산 자락을 5분쯤 걸어오...
    2005-02-17 17:44
  • 왕의 숲, ‘평민의 숲’으로 환생하다
    [3판] “나, 오늘 뚝섬갈비 뜯었어.” 최래옥 교수(한양대 국어교육학과)는 뚝섬을 떠올리면 1960년대 유행했던 이 말이 생각난다고 한다. 최 교수가 먹은 것은 진짜 갈비가 아니다. ‘뚝...
    2005-02-16 18:13
  • 그 넓던 백사장 어디로 갔을까
    다닥다닥 긁어 아파트로…“한강은 호수” 한강 백사장은 한때 서울시민들의 휴식처이자 정치집회장이었다. 이런 구실을 했던 그 넓던 한강의 모래톱은 모두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1968...
    2005-02-16 18:11
  • 임금상징 ‘독기’ 꽂았다고 “독도→뚝섬”
    [3판] 뚝섬 이름에는 두 가지 유래가 있다. 하나는 이곳이 조선 태조 이성계 때부터 임금의 사냥 장소였다는 데서 나왔다. 태조∼성종 때까지 100여년 동안 임금이 직접 나와 사냥한 것이 151차례나 되었다고 한다. 임금이 나오면 ...
    2005-02-16 18:09
  • 교토의정서 발효…“환경산업 키워 위기를 기회로”
    ■ 교토의정서 발효 기념 심포지엄 무방비땐 CO₂배출권 구입비용 천문학적기업‘청정 생산방식’등 적극검토해야“재생에너지 투자 경제기여”인식전환을 [3판] 지구온난화를 막기 ...
    2005-02-16 18:09
  • ‘계룡산 관통도로 백지화’ 청구 기각
    필요성 논란과 환경파괴 우려, 부실한 환경영향평가 등으로 환경단체의 반발을 샀던 계룡산 관통도로에 대해 법원이 현재의 계획대로 공사를 추진해도 문제가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 대전지법 행정부(재판장 한상곤 부장판사)는...
    2005-02-16 11:29
  • 원래 “너벌섬”…너른 모랫벌 섬
    두차례 홍수로 밤섬·영등포와 ‘이별’ 여의도 개발 이전 여의도 지역은 섬이라기보다 200만~250만평의 경계가 불분명한 모래밭에 가까웠다. 여의도가 모래밭이었다는 점은 여의도의 이름에서도 유추해볼 수 있다. 배우리 한국땅...
    2005-02-15 18:03
  • 당시 설계자들 “회한스럽소”
    “수상도시로 만들지 못해…”“그냥뒀다면 더 쓸모”비판도 1967년 말 시작된 여의도 개발은 한강 종합개발의 신호탄이었다. 김현옥 시장이 추진한 여의도 개발의 도시설계는 당시 가장 유력...
    2005-02-15 18:01
  • 뜨거운 지구…소 방귀도 규제?
    농진원, 메탄가스 줄이는 사료 개발키로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해 소의 방귀도 규제해야 한다? 농촌진흥청은 16일 교토의정서(기후변화협약)가 발효함에 따라 소 등 가축이 방출하는 ...
    2005-02-15 17:55
  • 한강개발, 1백만평 백사장을 삼키다
    홍수땐 밤섬·양말산만 삐죽…일제땐 비행장1968년 ‘불도저시장’높이 16m 물막이 둑쌓아말놀던 목장터는 의사당…땅콩밭엔 6·3 빌딩 “당시에는 딱히 여의도라는 것은 없었어요. 엄청 넓은 백...
    2005-02-15 17:5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