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주먹 하나로 자수성가한 ‘신데델라’
1935년 6월13일 뉴욕 매디슨 스퀘어가든 경기장. 헤비급 세계 챔피언 ‘살인 주먹’ 맥스 배어와 부상 뒤 5년에 걸친 연이은 졸전 끝에 은퇴한 지 9개월만에 초라하게 링에 복귀한 도전자...
2005-08-04 16:57
조선시대와 엇비슷한 수준 우리 과학수사 위한 필독서
모든 살인은 증거를 남긴다브라이언 이니스 지음, 이경식 옮김, 휴먼앤북스 펴냄, 2005 1900년 7월1일, 독일 발트해 연안의 한 섬에서 두 형제가 끔찍하게 살해된 사건이 발생한다. 용의...
2005-08-04 16:52
네오콘, 그들의 진리는 거짓이다
‘네오콘(신보수주의자)’이 미국 정치와 대외정책을 좌우하고 있다는 얘기가 본격적으로 흘러나오기 시작한 것은 조지 부시 정권이 등장하면서부터다. 특히 2001년 9·11 동시테러 이후 그...
2005-08-04 16:42
진정 이해한 벗, 다산과 정조
역사적 인물에 대한 연구는 평전으로 마감하는 것이 좋다. 그 인물의 생애와 업적은 물론 그에 관한 후학의 연구결과를 일반인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장태 교수가 을 ...
2005-08-04 16:40
‘이름없는’ 필부의 삶 날것 그대로 20세기
은근한 진지함을 품고, 찬찬히 읽어내려가는 게 좋겠다. 그런 다음에야, 거대한 서사와 무의미한 일상 사이를 날카롭게 비집고 들어간 이 여섯 권의 책을 온전히 음미할 수 있다. 은 기왕...
2005-08-04 16:23
이성으로 포장된 ‘혐의 논리’ 어디 개화기 뿐이랴
귀화한 한국인으로서 한국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향한 애정어린 쓴소리를 아끼지 않고 있는 박노자 교수(노르웨이 오슬로대)가 또 한 권의 책 를 펴냈다. 제목만 보고는 전쟁과 양민...
2005-08-04 16:19
‘찡하게’ 삶 속으로 들어온 죽음
아깝다 이책 현대 도시인은 자신들에게 불편한 것을 일상에서 격리시켰다. 배설과 죽음은 그 전형적인 예이다. 예부터 인간은 죽음을 삶 옆에 두고 인식하고 바라보며 살았다. 가까운...
2005-08-04 16:17
“양육, ‘돌봄 노동’은 수행 내면의 군더더기 떨어져나가”
최보은의 인터뷰 무제한/ 여성학자 오한숙희씨 꼬박 열다섯시간 컴퓨터 앞에 앉아 있었다. 왜 그랬을까. 알만 한 사람은 다 아는 여성학자이자 방송인이고 저술가인 오한숙희(46)씨를...
2005-08-04 16:01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2601
2602
2603
2604
2605
2606
2607
2608
2609
261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