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은하형성 이론 30년만에 뒤집었다
    지난 30여년 동안 천문학계를 지배해온 은하형성 이론을 뒤집는 새 이론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발표됐다.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의 윤석진·이석영·이영욱 교수팀은 1...
    2006-01-20 06:26
  • [필진] 도시락 강의와 과학의 전체성
    미국인들이 촌각을 아끼며 연구하는 대표적인 모습은 'Brown Bag Series'라는 명칭에서 찾아 볼수 있다. 90년대 중반 필자는 과학계에 속해 있었다. 그 시절 필자가 공부하던 미국의 어느 학교 컴퓨터과학대학원에서는 촌각을 아끼며 ...
    2006-01-19 14:44
  • 산성비를 맞으면 정말 머리가 빠질까?
    ◈ 산성비란 오염되지 않은 비에 비하여 산성이 강한 비로 ph5.6 이하인 비를 말한다. 산성비는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석유, 석탄의 사용량이 늘어나 이의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이 황산, 질산으로 변화...
    2006-01-18 17:01
  • 개미에겐 개미만의 항생제가 있다?
    ◈ 파나마 곰팡이를 기르는 개미들은 ‘콜로니’에 먹이를 공급하기 위해 곰팡이로 가득찬 정원을 만드는 종들이다. 그런데 이들에게도 걱정이 있었으니 개미들의 작물에 기생하는 곰팡이가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에 대응하기 위해 ...
    2006-01-18 17:00
  • <킹콩>은 SF일까, 판타지일까?
    연말연시 극장가에서 흥행하고 있는 작품들 중에는 우리에게 친숙한 도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시리즈를 만들면서 기술적인 면은 물론이고 극적 구성이나 스릴 넘치는 연출 등에서 세련...
    2006-01-18 16:57
  • 서울대서 이대 생명과학전공 석좌로 옮긴 최재천 교수
    우리나라의 대표적 동물행동학자인 최재천(사진) 전 서울대 생명학부 교수가 16일 이화여대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전공 석좌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최 교수는 이날 “미래의 퀴리 부인과 ...
    2006-01-16 18:26
  • 컴퓨터가 인간의 감정을 읽어요~
    ◈ 이미 많은 컴퓨터들이 듣거나 볼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는데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컴퓨터 사용자의 기분까지 파악할 수 있는 컴퓨터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Fraunhofer 대학의 컴퓨터그래픽 연구소 IGD의 과학자들은 컴퓨...
    2006-01-16 17:16
  • 아스피린, 당뇨병성 망막병증 치료제로 유망
    ◈ 하버드 의과대학의 로렌지(Mara Lorenzi) 박사는 최근 당뇨병을 가진 쥐들을 대상으로 선택적 항혈소판 제제인 클로피도그렐과 아스피린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아스피린은 사람들에게 사용하는 항염증 범위 ...
    2006-01-16 17:16
  • 북방계, 남방계로 알아보는 한국인
    일반적으로 외국인들은 한국인에 대해 표정이 딱딱하고 얼굴이 평면적이며 눈, 코, 입이 작다고 말한다. 좀 더 깊이 들어가면 한국인은 거칠고 촌스러우며 무례하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이런...
    2006-01-16 17:13
  • 한약과 무! 왜 같이 먹으면 안될까?
    ◈ 한약을 먹을 땐 약에 따라 금기시해야 할 음식이 있는데 자주 등장하는 것이 ‘무’다. 실제로 한약의 경전과도 같은 본초강목에는 숙지황이 들어있는 약을 복용할 때 생무를 먹으면 머리카락이 희여진다고 쓰여있다. 숙지황이 무엇이...
    2006-01-13 17:4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