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또랑또랑 네 눈빛은 반생태적 삶에 일침 놓네
    달려라 냇물아 풀잎 위의 청개구리 눈알 / 최성각(소설가/풀꽃평화연구소장) 얼마 전에 돌을 만지는 한 사내를 만났다. 어떤 이들은 그를 스님이라고 말했다. 낡은 법복을 입고 있...
    2005-05-26 21:14
  • 전깃불 드는 집에 사는 슬픔
    춘천에서 전주로 이사를 왔다. 사람들은 묻는다. 전주로 이사가니까 좋지요? 정말 좋은가? 스스로에게 되묻는다. 답은 잘 모르겠다,다. 아직은 잘 모르겠다. 집 안에만 있으면 여기가 춘천인...
    2005-05-26 21:07
  • 무지인과 무식쟁이
    나보다 앞에 태어난 아버지 딸이 ‘자’(姉)고, 뒤에 태어난 아버지 딸이 ‘매’(妹)다. ‘자·매’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을 ‘무지인’이라 한다. 누나를 ‘매’라고 하는 이가 있다. 누나 남편은 ‘자부’(姉夫), 여동생 남편은 ‘매부’(妹夫)가...
    2005-05-26 21:06
  • 뜨거운 와인 한잔…그리고, 그 ‘정체’를 보았다
    전혜린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내가 전혜린의 에세이 를 처음 읽은 것은 벌써 20년도 전의 일이다. 책의 첫 페이지를 열고 마지막 장을 덮을 때까지 나는 전혜린이라는 한 지...
    2005-05-26 21:01
  • 말과 글이 되는 순간 진실은 휘발된다
    상당수의 유럽쪽 언어에서 ‘역사(history)’와 ‘이야기(story)’는 동일한 어원을 지니고 있다. ‘역사’가 있었던 일, 그러니까 사실에 관계되는 반면, ‘이야기’는 있지 않았던 일, 그러니까 허...
    2005-05-26 20:54
  • 평화를 위해 싸우는 문학
    ‘문학 올림픽’이라는 별칭을 얻으며 뜨거운 관심 속에 진행됐던 제2회 서울국제문학포럼이 성료됐다. ‘평화를 위한 글쓰기’를 주제로 열린 이번 대회는 국내외 참가 작가들이 27일 한반도 분...
    2005-05-26 20:52
  • 국경도시…사흘 밤낮 동안의 눈과 쿠데타
    제2회 서울국제문학포럼에 참가한 해외 작가들의 작품 출간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주에 이어 이번주에는 터키 작가 오르한 파묵(53)의 신작 (이난아 옮김, 민음사)이 새로 나왔고, 2001년에 ...
    2005-05-26 20:47
  • 천명을 등진 군주는 추방하라
    맹자 실수 없도록 마음을 삼간다는 뜻으로 ‘조심’이란 말이 있다. 한자로 ‘操心’이라고 적는다. 중국어의 ‘소심(小心)’, 일본어의 ‘용심(用心)’에 해당한다. ‘소심’은 에 ‘소심익익(...
    2005-05-26 19:56
  • “하필 이로움을 말씀하십니까 오직 인의만 있을 뿐입니다”
    “맹자가 양혜왕(위나라 혜왕)을 만나 뵈었다. 왕이 말했다. “노인께서 천리를 멀다하지 않고 오셨으니, 역시 장차 내 나라를 이롭게 할 방도가 있으십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왕께서는 하필 이로움을 말씀하십니까? 역시 인의가 있...
    2005-05-26 19:46
  • 빈 라덴 인터뷰 ‘킬’된 까닭은…
    “오사마 누구라구?” 지금은 미국인들에게 잊을 수 없는 이름이 돼버린 오사마 빈 라덴. 그러나 2001년 9·11 동시다발테러 전만 해도 이 이름을 아는 사람은 극히 드물었다. 언론사 간부들...
    2005-05-26 19:41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