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왜냐면] 나의 노동인생 역사는 오늘도 ‘진행중’ / 김수빈
    초·중·고교 내내 공붓벌레로 지낸 내게 아르바이트는 미지의 세계였다. 어느 연예인의 경우처럼 카페에서의 아르바이트는 내게 연예인 스카우트의 기회를 줄 것만 같았고, 인기리에 방영된 ...
    2014-11-26 18:44
  • [왜냐면] 수능 국어의 근본 해결책은 독서다 / 한명균
    수능이 끝났다. 이번 수능에서 국어 B형의 난이도가 매우 높아서 응시생들은 물론이고 많은 예비 수험생들까지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수학이나 영어야 쉽게 사교육에 접근할 수도 있지만 국어는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한 편이다. 물론 ...
    2014-11-26 18:43
  • [왜냐면] 포천합창단의 갑작스런 해단 통보에 대해 / 박지희
    2003년 포천여성시립합창단으로 출범해 전문 성악가들로 구성이 재편된 포천시립합창단이 “시 재정악화 때문에 12월31일부로 해단된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들의 기본권은 헌법으로 보장을 받지만 시 재정악화에 따른 해단은 불가피한...
    2014-11-26 18:43
  • [왜냐면] 농업·소상공인 모바일 사각지대를 없애자 / 이종견
    ‘디지털 격차’가 많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소상공인이나 농업 종사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물건을 사고팔고 싶어도 복잡한 모바일 결제, 인증, 로그인, 상품등록 등을 시도하기 어렵다. 소상공인과 농민은 모바일 시대에 있어 소외계층...
    2014-11-24 18:46
  • [왜냐면] 수험생들아 슬퍼하지 마 / 박소현
    수능이 끝났다. 입시는 끝나지 않았지만. 주변에서 많은 연락이 왔었다. 문득 수능이 뭐 그리 큰 국가적 행사길래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규모가 큰 재수학원을 9개월 동안 매일같이 다녔다. 고3 때는 상상도 할 수 없을 만큼 많...
    2014-11-24 18:45
  • [왜냐면] 카트 스크럼이 밀어낼 것은? / 김하나
    퇴근 뒤 영화 <카트>를 보고 왔다. 영화를 보고 나서 드는 생각이 고작 ‘나는 정규직이니까 저런 일을 겪지 않아도 되는 것이 얼마나 다행이야’라는 한 줌의 위안뿐이라면, 타인의 어려움을 발판 삼아 한 발 한 발 위태롭게 내...
    2014-11-24 18:45
  • [왜냐면] 카트, 그 찬란한 ‘실패의 서사’에 대해 / 박범준
    <명량>은 우리나라 역대 최다관객 수인 1700만명을 동원한 영화다. 명량 이전에 최다 관객 영화가 대략 1300만명을 동원한 영화 <도둑들>인 것을 보면, 1700만이라는 수치가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알 수 있다. 명량의 흥...
    2014-11-24 18:45
  • [왜냐면] 탁한 세상, 불법의 향기가 그립다 / 하훈
    수불 스님. 자본의 거센 탁류에 아이들이 쓸려간 지 벌써 세 번째 계절이 지나갔습니다. 캄캄하고 황망한 나날들. 넋 나간 부모들이 잠시 흥분해 폭력사건에 휘말리자, 기다렸다는 듯 이리 떼처럼 달려들어 그들을 만신창이로 만들었...
    2014-11-24 18:42
  • [왜냐면] 그들의 아픔은 아직 충분히 말해지지 않았다 / 장준식
    러시아의 문호, 안톤 체호프의 <슬픔>이라는 단편 소설이 있다. 주인공은 마부 이오나이다. 이오나는 얼마 전 아들을 잃었다. 그러나 그에게 그 사건 자체가 어떤 긴장을 만들어내는 ...
    2014-11-20 18:42
  • [왜냐면] 책임 민주주의와 인터넷 실명제 / 윤현수
    대한민국의 이념적 바탕은 민주주의이다. 헌법에도 명시되어 있다. 민주주의 실현에 가장 중요한 게 바로 ‘대화’이다. <자유론>의 저자 존 스튜어트 밀은 건전한 토론만이 민주주의를 가치 있게 한다고 보았다. 그런데 정보기...
    2014-11-20 18:41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