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삶의 패배자이자 투사에 대한 찬미
    서울 국제문학포럼 참가칠레작가 세풀베다 ‘소외’ 번역 출간 다음주에 열리는 제2회 서울 국제문학포럼을 앞두고 포럼에 참가하는 외국 작가들의 작품이 잇따라 번역 출간되고 있다. ...
    2005-05-19 20:27
  • “관습이야말로 만물의 왕”
    책 속으로 “이 책은 할리카르낫소스 출신 헤로도토스가 과거에 일어났던 일들이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연구하고 조사한 것을 서술한 것이다. 그리스인(Hellenes)과 이민족(Barbar...
    2005-05-19 20:25
  • ‘신’을 지우고‘인간’을 돋을새김하다
    인간은 설명은 할 수 없는 것도 이야기는 할 수 있는 서사적 존재다. 왜 낮에는 하늘에 태양이 있고 밤에는 달이 있으며, 인간은 어떻게 만들어졌고 왜 죽어야 하는지를 설명할 수 없었던 까...
    2005-05-19 20:11
  • 고린내 밴 신발도 소장?
    인간은 두 부류란다. 버리는 부류, 간직하는 부류. 물건을 버리는 것은 자신의 꿈과 공상을 버리는 것이란다. 를 쓴 영감은 당연히 후자다. 그것도 수집광. 헌 신발 예찬부터 예사롭지 않...
    2005-05-19 20:08
  • 늑대의 끓는 피 부르는 까닭은…
    중국인들은 스스로 ‘용의 후예’라 즐겨 말해왔다. 그러나 중국인이 ‘용의 후예’가 아니라 ‘늑대의 후예’라는 주장을 담은 매우 독특한 소설 한 편이 대륙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본디 작가가...
    2005-05-19 19:57
  • ‘지금 여기’가 명당이다
    “국토의 95%는 읍 이상의 도시지역에 속한다. 이제 돌아갈 시골의 이상향은 없다. 따라서 시골에서 명당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시에서 명당을 찾아야 한다. 아니, 찾는 게 아니...
    2005-05-19 19:33
  • 로봇의 인간화 인간의 로봇화
    로봇 만들기 책의 마지막 문장은 이렇다. “우리와 로봇의 구별은 사라지고 말 것이다.” 세계 로봇공학의 권위자로 꼽히는 로드니 브룩스 박사(미국 매사추세츠공대 인공지능연구소...
    2005-05-19 19:27
  • 뭇매로 단련된 왕따 ‘가문의 영광’ 일구다
    지구촌을 마을 하나로 축소할 수 있다면, 유대인은 한 마을에 사는 우리 이웃이면서도 오랜 세월 동안 힘 깨나 쓰는 가문들한테 ‘왕따’ 당한 세월을 살아야 했던 집안이다. 왕따 정도가 아니...
    2005-05-19 19:27
  • ‘중용의 길’서 날아온 돌
    다시 에드워드 사이드를 위하여빌 애쉬크로프트, 팔 알루와리아 지음윤영실 옮김/ 앨피 를 꼼꼼하게 읽게 된 것은 한 장의 사진 때문이다. 책을 건성으로 훑어보다 끝자락에 실려 있는 문제의 사진을 보며 가슴이 아려왔다. ...
    2005-05-19 18:52
  • 사호/비애·치루왕
    말 글 찻집 공자는 에서 자기 나라(魯) 흐름을 짚으면서, 마지막 왕을 ‘애공’(哀公)이라고 기록했다. 15권이 ‘정공’(定公), 마지막인 16권이 ‘애공’으로 되었다. “14년 봄 정월에 공이 서쪽으로 사냥을 떠났다. 기린이 나서니...
    2005-05-19 18:38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