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왜냐면] 듣기에만 좋은 ‘새해 인사말’ / 김세영
    새해인사 하기 바쁜 요즘이다. 일상에서 많이 주고받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를 시작으로 고등학생에겐 “수능 대박 나라”, 대학생에겐 “좋은 데 취직해라”, 30~40대 사이에선 “돈 많이 벌어라”와 같은 인사말을 건네고 받는다. 나...
    2015-01-05 18:42
  • [왜냐면] 독산고의 ‘착한 매점’ 프로젝트 / 홍태숙
    지난해 11월부터 독산누리사회적협동조합이 독산고교 매점 운영을 시작하였다. 서울지역 고교로는 사회적협동조합이 매점을 운영하는 첫 사례라는 점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사회적협동조합의 학교 매점 운영이 확산되었으면 하는 바...
    2015-01-05 18:41
  • [왜냐면] “그들이 처음 왔을 때” / 김동수
    헌법재판소는 통합진보당을 ‘종북’ 정당이라 규정했다. 헌재가 ‘종북 구분법’을 제시하자 종북몰이의 광풍도 함께 몰아치고 있다. 보수단체는 진보당 소속 당원 전부를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아르오(RO)가 진보당...
    2014-12-31 18:49
  • [왜냐면] 훈습-화상경마장과 싸우는 이유 / 김율옥
    ‘훈습’(薰習)의 사전적 의미는 향이 그 냄새를 옷에 배게 한다는 뜻이다. 불교에서 훈습은 우리가 행하는 선악이 없어지지 아니하고 반드시 어떤 인상이나 힘을 마음속에 남김을 이르는 말이다. 마치 향을 싼 종이에서는 향냄새가 배...
    2014-12-31 18:48
  • [왜냐면] ‘지록위마’는 반만 맞다 / 유형규
    또 한해가 저물었다. 대학교수들이 혼란스럽고 마음 아팠던 지난 한해를 담은 사자성어로 ‘지록위마’(指鹿爲馬)를 골랐다고 한다. 참 많은 걸 돌이켜 생각하게 하는 표현이다. 분명히 사슴인...
    2014-12-31 18:48
  • [왜냐면] 분단 70년을 맞으면서 / 강정구
    며칠이 지나면 분단 칠순을 맞는다. 후삼국 분단 44년을 넘은 지 오래다. 외국군 주둔 70년의 역사도 가까워지고 있다. 주한미군은 2차 세계대전 직후부터 3년간의 군사정부를 통해 남한을 직접 점령 및 통치했고, 이후로는 미국의 ...
    2014-12-29 18:49
  • [왜냐면] 히틀러, 헌재 결정 그리고 지성의 공백 / 박영규
    차이 없는 세상이 존재할 수 있을까? 없다. 플러스 부호만으로는 수학이라는 학문이 성립되지 않듯이 자본가만 있는 세상에서는 시장이 존재할 수 없다. 지배계급만으로는 정부를 구성할 수 없다. 마이너스 부호, 노동자, 국민이 있음...
    2014-12-29 18:48
  • [왜냐면] 아파트 관리 비리 막을 대책 있다 / 이민세
    대한민국에는 임기가 정해진 선출직이 두가지가 있는데, 그 하나는 대통령이고 다른 하나는 아파트 동대표라고 한다. 아파트 동대표는 뭐가 그리 대단하다고 임기까지 정해뒀을까? 최근 언론 보도를 보면, 경기도가 지난 1년간 24개...
    2014-12-29 18:48
  • [왜냐면] 무너지는 방산! 부조리 개선이 시급하다 / 이희우
    우리의 방위산업이 생사의 기로에 섰다. 통영함을 위시해 봇물처럼 터지는 비리 사건으로 인한 국민적 비판은 결국 사상 초유의 방산비리 합동수사로 이어졌고, 이에 주요 방산업체들은 날로 악화되는 채산성 문제는 제쳐 두고 수사의...
    2014-12-22 18:49
  • [왜냐면] ‘헌재의 폭력’과 흑백논리가 통하는 사회 / 문상배
    통합진보당은 끝내 헌법의 이름으로 2014년 12월19일 해산당했다. 국가 기관의 이런 결정은 사상과 이념의 다양성은 물론 정치적 견해가 다른 국민들을 향한 선전포고라 할 수 있다. 헌법재판소 소장은 선고를 시작하며 “부디 이 결정...
    2014-12-22 18:48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