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왜냐면] 박근혜 대통령님께! / 김성동
    “대한민국에서 살아남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 소설가였다.” 이제는 저 뉘로 간 선배작가가 한 말이었지요. 소설가로 이름자를 얻고 보면 어느 발에 채이는지도 모른 채 깨져버릴 수밖에 없는 얼띤 죽음만큼은 면할 수 있겠다는 슬픈 깨...
    2013-03-04 19:27
  • [왜냐면] 신뢰받는 매뉴얼 / 김철훈
    성숙하고 선진화된 국가의 기본에는 늘 ‘준비된 매뉴얼’이 있다. 국가적 혹은 사회·경제적 위기는 어느 나라든 상시 존재한다. 다만 이 같은 위기에서도 그 사회의 구성원인 국민이 정부의 매뉴얼을 신뢰하고 따르는 사회라면 곧 정의...
    2013-03-04 19:26
  • [왜냐면] ‘성시경’ 유감 / 이상윤
    지난 2월25일, 성균관대학교 졸업식장. 늦겨울 찬 바람에 앙상한 가지들이 몸을 떠는 날씨였지만, 서울 종로구 명륜동의 은행나무만큼은 이미 봄을 맞은 듯했다. 수년 동안의 힘든 공부를 마치고 이제 막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졸업생...
    2013-03-04 19:26
  • [왜냐면] 부끄러운 3·1절 / 김삼웅
    독립운동이 역사적 가치로 대접받지 못하는 시대에 3·1절 94주년을 맞는다. 입으로는 3·1운동을 염불처럼 외우면서도 실제로는 그 정신과 거리가 먼 세력이 이날을 부끄럽게 해왔다. 2천만 ...
    2013-02-27 19:56
  • [왜냐면] 오늘은 내가 지상에 갇혔네 / 심보선
    해고자 복직과 국정조사 실시를 요구하며 쌍용차 해고노동자들이 송전탑에 올라 고공농성을 시작한 지 100일이 지났다. 해가 바뀌었고 대통령이 바뀌었다.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문기주 정비지회장, 복기성 비정규직 수석부지회장, 한...
    2013-02-27 19:56
  • [왜냐면] ‘진보’를 말하는 이들에게 / 김종현
    80.14%. 지난 대선 때 내가 사는 대구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얻은 득표율이다. 제1야당을 지지한 ‘깨어 있는 시민’들은 기득권의 손을 들어준 대구시민을 노예근성에 젖은 사람들이라고 비난했다. 어쩔 수 없는 보수의 도시라는 조롱도...
    2013-02-27 19:55
  • [왜냐면] ‘실질적’ 법치주의가 필요하다 / 조나리
    노회찬 전 의원에 대한 대법원의 유죄 판결이 ‘정의가 무너진 판결’이라고 많은 사람들에게 비난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는 사생활의 자유에 대해 그간의 견해와 다소 다른 결정을 법원이 냈기 때문이다. 사생활의 자유와 표현의...
    2013-02-27 19:55
  • [왜냐면] 대통령의 ‘수칙’ / 김한정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했다. 그는 어떤 대통령이 될까? 축하와 기대의 마음보다 걱정이 앞선다. 당선된 뒤 지금까지 보여준 모습은 국민에게 그리 친절하지 않았다. 내각이나 비서진 인선 과정도 그랬고, 대선 공약이 후퇴한 데 대한 ...
    2013-02-25 19:29
  • [왜냐면] 사각지대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김한태
    최근 통계청의 ‘2010 인구주택총조사’에서 2010년 11월1일 현재 우리나라 15살 이상 인구 가운데 교육 정도가 초등학교이거나 안 받았음(미취학 포함)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총 4000만명 중 550만명이었다. 약 550만명(전체국민 대비 1...
    2013-02-25 19:28
  • [왜냐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서관 짓기 / 김선우
    작년 3월7일을 기억한다. ‘구럼비 발파’가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오르며 사방에서 터져 나오던 탄식들. “생명을 생명 그대로 살게 하라. 아름다움을 아름다움 그대로 보존하라. 말뿐인 ‘평화의 섬’이 아니라 진정한 ‘평화의 섬’이 되...
    2013-02-25 19:28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