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왜냐면] 우리가 돼지야? / 조영미
    조영미 서울시 성동구 옥수동 덴마크 사람들과 점심을 먹으며 최근 카이스트 학생들의 연이은 자살에 대한 얘기를 나누었다. 도대체 원인이 무엇이냐고 묻는 그들에게 한마디로 ‘시스템’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카이스트 내부의 징벌...
    2011-04-15 20:02
  • [왜냐면] 카이스트 학부모의 외침 / 오성숙
    오성숙 카이스트 학부모 국회에 소환된 서남표 카이스트 총장의 발언을 보며 카이스트 학부모로서 정말 비분강개하지 않을 수 없다. “카이스트 운영을 잘했다고 본다. 자살에는 복잡한 사인이 많이 있으며, 사퇴할 마음이 없다”고 ...
    2011-04-15 20:00
  • [왜냐면] 부조리한 인턴제, 우리도 마찬가지다 / 이주영
    이주영 국회 인턴 토요일 아침이었다. 일주일 동안 쌓인 피로를 걷어내고 신문을 펼쳤다. 제목이 ‘인턴제’로 시작하는 기사가 눈에 띄었다. 불공정한 인턴제 관행을 근절하겠다고 나선 닉 클레그 영국 부총리의 떳떳하지 못한 과거 ...
    2011-04-15 19:59
  • [왜냐면] 지역은 누가 키울까 / 한창진
    한창진 전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올림픽과 월드컵에 이어 세계 3대 행사인 ‘2012 세계박람회(엑스포)’ 개최가 1년 정도 남았다. ‘여수’ 하면 누구나 떠올리는 아름다운 동백섬 오동도가 있는 여수신항에서 93일 동안 열린...
    2011-04-15 19:59
  • [독자시] 죽은 시인의 사회 / 최일걸
    잔혹한 경쟁체제가 전국의 모든 학생들을 일등부터 꼴찌까지 줄 세워놓고 뒤처지거나 경쟁의 압박을 견디지 못한 학생들이 죽음으로 내몰리는 현실 속에서 감히 누가 공존의 의미를 발설할 수 있을까 해마다 얼마나 많은 학생...
    2011-04-12 20:16
  • [왜냐면] 핀란드에서 본 카이스트 학생들의 죽음 / 김해식
    김해식 핀란드 오울루 핀란드에서 살고 있는 과학자입니다. 최근 카이스트 학생들의 죽음을 접하며 안타까운 생각이 들어 몇자 적어 봅니다. 우선 우리나라 학생들은 이미 지나치게 많은 경쟁 속에 하루하루 치열하게 살고 있다고...
    2011-04-12 20:15
  • [왜냐면] 국가의 역할과 카이스트 / 박경신
    박경신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국가가 능력 있는 사람들에게 지원을 몰아줘야 한다는 생각은 성장 위주의 사고방식이다. <정의란 무엇인가>는 능력주의 자체가 불공정한 특혜임을 국내에 가장 널리 소개하여서 의미가 있...
    2011-04-12 20:14
  • [왜냐면] 용서는 할 수 있어도 과거를 잊지 말자 / 김자동
    김자동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사업회장 대한민국은 1965년 일본과 기본 조약을 맺어 국교를 정상화했다. 그러나 이 조약이 두 나라의 과거를 깨끗이 청산했다고는 볼 수 없다. 독일연방공화국(서독) 정부는 제2차 세계대전 뒤 승전...
    2011-04-12 20:14
  • [왜냐면] 왜 청소년 자살엔 관심이 없나 / 노슬기
    노슬기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2가 1동 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 학생의 자살 문제가 요즘 화제입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천부적 재능과 노력을 발휘해 간 일류 대학에서 올해에만 4명의 자살자가 나왔다는 것은 분명 카이스...
    2011-04-12 20:13
  • [왜냐면] 서울대로 가는 안철수를 바라보며 / 정혁
    정혁 경기과학고 교사 5~6년 전만 해도 과학고 학생이 2학년을 마치고 갈 수 있는 대학은 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와 포항공대뿐이었다. 대부분의 과학고가 그러했겠지만 과학고를 다니면서 최선은 2학년을 마치고 카이스트...
    2011-04-08 19:3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