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유해 수입농산물 해결의 단초
    농산물 시장 개방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불법·유해한 수입 농산물들이 넘쳐나는 것을 보면 분노를 넘어 허탈감마저 느낀다. 우리나라 식량 자급률은 주식인 쌀을 제외하면 5% 미만으로, 이미 우리 식단은 거의 ...
    2005-10-25 03:53
  • 원전을 선택해야 하는 5가지 이유
    불과 1년 전 배럴당 30달러 선에서 머물던 국제유가가 60달러를 넘어섰다. 국가 장래와 직결되는 미래의 에너지를 해결할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원자력 발전을 비롯한 관련산업을 정책과제로 채택하고 비중을 확대하는 것이다. ...
    2005-10-25 01:00
  • 누가 대한민국 정체성 파괴하나
    그들이 말하는 정통성이란 친일 주구 노릇을 하며 군사독재 체제를 쌓느라 저지른 수많은 살인의 추억 외에 무엇이겠는가? 군복을 입은 극우 행동대원들이 나라의 정통성을 수호하기 위함이라며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대통령의 사진...
    2005-10-24 17:59
  • 장애인에게 LPG 지원 계속해야
    장애인에게 교통비를 직접 지급하면 점차 장애인 엘피지 차량은 없어질 것이고 이동성은 더 감소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그러다 보니, 장애인 가족은 어쩔 수 없이 자가용 승용...
    2005-10-24 17:58
  • 불소화는 보이지 않는 고통을 치료한다
    1980년대 미국의 ‘기시’라는 학자에 의하면 수돗물 불소화에 지출되는 공중보건경비 10만달러당 예방되는 충치 수가 약 50만개다. 그러나 치료에 이 비용을 쓰면 단지 1만개의 충치를 치료할 수 있을 뿐이다. 충치는 대개가 보이고...
    2005-10-24 17:57
  • 강정구 교수의 말은 틀리지 않다
    “미국이라는 나라는 국익은 알아도 정의가 없는 나라고, 미국의 외교정책은 기만과 조작의 외교정책”이라고 나는 학생들에게 가르쳐 왔다.  나는 강정구 교수가 “북한이 통일전쟁을 하였다”고 주장하는 데 대해 아무런 문제가 없...
    2005-10-20 18:32
  • 노조 부패는 노사정 유착의 결과
    노조운동 관련 비리가 공개되는 건 ‘정부에 의한 노조 탄압’이 아니라 전반적인 열린 사회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과거의 관행이 더는 통용되지 않는다는 증표이기도 하다. 연초부터 일어났던 노조관련 부패로 사회적 물의가 일어...
    2005-10-20 18:31
  • 불소화는 빈곤층에게 더 위험해
    영양 상태가 고르지 못한 빈곤 계층과 노약자, 당뇨병·신장질환 등을 앓고 있는 건강약자들이 불소의 독성에 특히 취약할 수 있다.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건치) 회원인 서대선씨가 밝히고 있는 것처럼 수돗물 불소화 정책의...
    2005-10-20 18:29
  • 실직적 피해자들이 방폐장 유치 결정해야
    대상지에서 반지름 20km 정도 안의 주민에게는 투표권을 하나, 혹은 둘 정도 추가로 인정할 필요도 있다. 위험을 더 많이 안아야 하는 사람들도 동일한 투표권을 가지게 되면 받아들이기 어렵다.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방폐장) 문제...
    2005-10-20 18:21
  • 불소화는 700만 빈곤층 위한 일이다
    수돗불 불소화 사업은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수돗물을 음용하면 충치가 예방되는 사업이므로 대중적이다. 그러면서도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소외계층에 더 도움이 된다. 10월11일치 ‘왜냐면’에 실린 영남대 영어영문학 ...
    2005-10-17 18:32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